본문 바로가기

애드센스(깃허브)

github, jekyll, cursor 로 수익블로그 운영하기(소개)

GitHub, Jekyll, Cursor로 수익블로그 운영하기 소개

시작하게 된 계기

티스토리를 이용한 다음 검색유입이 기존의 주 수익이었는데, 결국 구글 등 검색유입도 노려야 하기 때문에, 구글용 블로그플랫폼을 새로 계획하고 있다. 워드프레스도 많이 알려져있고 좋은 선택지이지만, 개인적으로 GitHub이 더 익숙하고 손에 맞는 환경이어서 이 방향으로 결정하게 되었다. Github은 원래 코드를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인데, Github Page라는 서비스로 홈페이지/블로그/웹사이트 등을 배포해서 운영할 수 있다.

현재 구축한 시스템

기술 스택

  • GitHub Pages: 호스팅 서비스 활용
  • Jekyll: 정적 사이트 생성기로 블로그 구축
  • Cursor: AI 기반 글쓰기 도구로 콘텐츠 생성
  • Cloudflare: 트래픽 대비 및 성능 향상

운영 구조

현재 여러 개의 블로그를 동시에 준비하고 있다. 각각 다른 주제와 타겟층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둔 구조다.

GitHub의 Private Repository를 활용하고 있어 유료 플랜을 사용 중이지만, 비용 대비 효과를 고려하면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자동화 시스템 구축

Cursor를 활용한 글쓰기

Cursor의 AI 기능을 활용하여 자동 글쓰기를 시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량의 포스팅이 가능할 것이고, GitHub과의 연동을 통해 바로 배포까지 이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보통 Cursor 는 프로그램 코드를 짜는 AI툴이지만, github page 의 경우 블로그가 한개의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코드작업을 하듯이 글작성을 해나갈 수 있게 되었다.

현실적 한계 인식

다만 AI 글쓰기의 정확성에는 아직 한계가 있다는 점이 보인다(방법을 잘 모른다 아직). 특히 링크 참조 시 무효한 링크를 자주 생성하는 문제가 있어, 검수 과정이 필수적이었다.

트래픽 대비 전략

GitHub Pages의 트래픽 제한을 고려하여 Cloudflare를 연결해두었다. 혹시 모를 트래픽 급증에 대비한 예방책이다.

데이터 분석 체계

Google Search Console과 Google Analytics를 연결하여 데이터 수집 체계를 구축했다. 현재는 초기 단계이지만, 향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두었다.

현재 상황과 전망

수익 현황

아직 수익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다. 이는 예상했던 결과이며,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목표와 계획

1차 목표는 구글 유입 트래픽 확보다. 수익화는 그 이후의 단계로 보고 있으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한다.

대량 포스팅을 통한 콘텐츠 확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해 자동화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갈 계획이다.

개인적 소감

아직 가시적 성과는 없지만, 시스템 구축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무엇보다 장기적 관점에서 꾸준히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급한 수익보다는 지속 가능한 시스템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마치며

GitHub, Jekyll, Cursor를 활용한 블로그 운영은 기술적 접근성과 확장성 면에서 장점이 있다. 다만 초기 설정의 복잡성과 AI 글쓰기의 한계는 고려해야 할 요소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하고, 데이터를 통해 검증해나갈 예정이다. 비슷한 고민을 하는 분들에게 작은 참고가 되길 바란다.